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용 교재 교구 활용에 대한 품질인식과 인증평가 제도적용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2013년 4월 20일부터 30일까지 충남, 대전지역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3년차 이상된 영유아반 지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재 교구 활용실태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교재 교구의 질 중요성은 전체 96.1%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대다수 교사가 교육, 보육과정을 고려한 교재 교구사용시 수량과 품질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현장에서 유아교사와 교구간의 사용시 가장 불편한 점으로는 발달의 적합성(47.3%)이 가장 높고, 유아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은 평균 3.54점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놀이와 교구의 사용시 유아들의 교구활용에 대해 평균 3.89점으로 유익하다고 나타났으며, 현재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유아 교구에 대해 평균 3.29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재 교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균 3.99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유아의 어린이집에서의 교재 교구활용에 따른 교재 교구의 질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음을 입증시켜 주었다. 이는 교재 교구의 중요성과 유용성을 고려할 때 품질기준과 시설평가와 함께 교재 교구도 평가인증제도를 도입하여 품질이 보증된 제품의 공급으로 유아들의 안전과 사용에 따른 편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정책의 도입이 요구됨을 시사해 준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application of perceived quality and authentication evaluation system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 to April 30, 2013 on 150 guidance teachers who teach children classes for more than 3 years at kindergartens in Daejeon area, Chungn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use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96.1% of teachers thought the quality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in their interaction with children was important. Most of them had a high perception of the quantity and quality when using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with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the most inconvenience when using teaching implements,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was the highest by 47.3%. And the convenience of the application to children was 3.54 points on average. Above this, the application of teaching implements to children when using play and teaching implements was useful by 3.89 points on verage. The current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was normal by 3.29 points on average. Secon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was relatively positive by 3.99 points on average, proving that the quality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to early children in kindergartens was very important. Consequent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and usefulness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nstitutional policies that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with quality standard and institution evaluation can introduce the evaluation authentication system to guarantee the convenience of children' safety and use by the supply of quality-guaranteed produc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