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저빈도-저강도, 저빈도-고강도, 고빈도-저강도, 고빈도-고강도 네 개의 치료조건으로 나누어 만성요통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각기 다른 주파수 빈도와 강도가 만성요통환자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평균연령 39.19(<TEX>${\pm}12.96$</TEX>)세, 발병기간 8.57(<TEX>${\pm}3.07$</TEX>)개월인 요통환자 32명이었다. 치료기간은 2주 횟수는 총 10회로 1일 1회 15분간 시행하였으며 치료부위는 통증이 가장 심한 요추주변 부위에 시행하였다. 치료 전 후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요통정도(요통장애지수)와 요추부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각 군간 윌콕슨, 맨-휘트니 검정을 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 .05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 군 모두 실험 후 요통장애지수와 요추부 유연성에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며, 저빈도군에서는 고강도가, 고빈도군에서는 고강도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고빈도-고강도가 요통장애지수와 요추부 유연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가장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frequency and intensity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on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The subjects were 32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verage age 39.19 (<TEX>${\pm}12.96$</TEX>)years. The duration of chronic low back pain was 8.57 (<TEX>${\pm}3.07$</TEX>)months. The treatments were given 15 minutes once a day five a week for two weeks. to low back. Lumbar range of motion(ROM) and Oswestry Disabilitv Index(ODI))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ENS application. Each group was compared using Wilcoxon Mann-Whitney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 High intensity group showed more effect in low frequency group. High intensity group showed more effect in high frequency group. Therefore, the high intensity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with high frequency for treating chronic low back pai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