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여름철마다 내배수 시설물의 설계빈도를 벗어나는 강우사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불투수성이 큰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우수관거 및 펌프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극치강우로 인한 내수침수의 발생 및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수침수 위험도가 높은 지역의 내수침수피해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부산시 연제구 거제지구를 대상으로 다양한 지속시간과 강우강도를 고려한 강우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XP-SWMM을 활용하여 내수침수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법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내수침수피해액 산정법을 활용하여, 침수심과 침수면적에 따른 침수피해액을 산정한 후, 내수침수시나리오에 따른 침수피해곡선을 작성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내수침수피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침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강우량 및 큰 침수피해를 유발하는 호우사상을 파악하며, 침수가 발생되는 지역의 침수면적, 침수심, 침수피해액을 예측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in Korea, localized heavy rainfall ev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due to climate change. Especially, since urban areas depend heavily on pump and pipe systems, extreme rainfalls that exceed the design capacity of drainage facility result in increasing inland flood damag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ology to analyze urban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in inland flood prone areas. After firstly constructing rainfall scenarios which have various durations and intensities, inland flood scenarios were developed using XP-SWMM. This study presented the inland flood damage analysis (IFDA) to calculate inland flood damage from the inland flood scenarios. Based on the inland flood scenarios and corresponding flood damage curves, the characteristics of damage due to inland flood were analyzed using the relationships among precipitation depth, flood depth, and flood area.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identify the storm event resulting in heavy flood damage, and to predict the flood area, depth and damage from various storm even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