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미나리 및 부추가 혈청 및 간조직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5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N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미나리를 5% 첨가한 군(OP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부추를 5% 첨가한 군(AP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미나리와 부추를 각각 2.5% 첨가한 군(OAP 군)으로 나누었다. 혈중의 중성지방 농도는 N 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HF 군에 비해 OP 및 AP 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OAP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HF 군이 N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HF 군에 비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증가하였고, 특히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LDL-콜레스테롤은 함량은 HF 군에 비해 OP 군과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졌다. AI의 경우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조직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분변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N 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미나리 및 부추의 공급군에서 HF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어졌다. 또한 OP 군에 비해 AP 군 및 OAP 군에서 유의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미나리 및 부추는 지질대사 조절에 효과적으로 작용되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특히 미나리와 부추의 복합공급은 이러한 체내 지질조절에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and Allium tuberosum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hich were composed of normal diet group (N),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group (HF),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5% Oenanthe javanica powder diet group (OP),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5% Allium tuberosum powder diet group (AP) an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2.5% Oenanthe javanica and Allium tuberosum powder diet group (OAP). The serum TG content of the HF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 group, but that of the OAP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HDL-cholesterol contents of the OAP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AI of the HF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N group and especially the LDL-cholesterol of OP and OAP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liver TG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s of the HF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 group, while TG contents of the OAP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Fecal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of OP, AP and OAP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Oenanthe javanica and Allium tuberosum may have a pronounced impact on markers of lipid metabolism in serum and liver of rats fe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