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야생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씨와 과육 중의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규명하여 바이오헬스 기능성 소재 등의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 돌복숭아 씨와 과육 중의 일반성분, 구성 총 아미노산, 유리 아미노산 및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돌복숭아 씨 및 과육 중의 일반성분 함량은 탄수화물이 63.92% 와 75.1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조단백질 27.85%, 12.77%, 수분 3.61%, 4.69%, 조지 방이 1.21%, 4.80% 그리고 조회분이 3.41%와 2.63%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복숭아 씨 중의 구성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3,444.35 mg%로 이 중 aspartic acid가 681.10 mg%, glutamic acid 495.48 mg%, alanine 283.66 mg%, serine 251.36 mg%, proline 229.80 mg%, lysine 192.31 mg% 및 leucine이 191.34 mg%의 순으로 조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돌복숭아 과육의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1,064.02 mg%로, aspartic acid 250.15 mg%, glutamic acid는 129.63 mg%로 과육의 주요 총 아미노산이었고 lysine, proline, leucine, alanine, serine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돌복숭아 씨 중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6,215.34 mg%로, 이 중 glutamic acid가 827.25 mg%로 가장 많았으며, threonine, valine, <TEX>$\beta-aminobutyric$</TEX> acid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과육 중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683.82 mg%로, glutamic acid(339.49 mg%)가 대부분 이었으며, serine, proline, alanine, <TEX>$\gamma-amino-n-butyric$</TEX> acid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2.49%, 단불포화지방산 13.1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74.36%의 함유비율을 보였으며, 필수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TEX>$(C_{18:2})$</TEX>와 n-3계 linolenic acid<TEX>$(C_{18:3})$</TEX>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TEX>$(C_{18:2})$</TEX>와 n-3계 linolenic acid<TEX>$(C_{18:3})$</TEX>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substance in the seed and pulpy substance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were analyzed for the use as an biohealth functional processed products. The proximate compositions in the vacuum freeze dried seed and pulpy substance of feral peach were carbohydrate 63.92% and 75.11%, crude protein 27.85% and 12.77%, moisture 3.61% and 4.69%, crude fat 1.21% and 4.80%, crude ash 3.41% and 2.63%,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contents in the protein of feral peach seed were 3,444.35 mg%,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681.10 mg%), glutamic acid(495.48 mg%), alanine(283.66 mg%), serine(251.36 mg%), proline(229.80 mg%), lysine(192.31 mg%) and leucine(191.34 mg%),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contents in the protein of feral peach pulpy substance were 1,064.02 mg%, and the major amino acids followed aspartic acid(250.15 mg%), glutamic acid(129. 63 mg%), lysine, proline, leucine, alanine and serine, in a decreasing order. The richest total amino acid content contained in feral peach seed and pulpy substance was aspartic acid, followed by glutamic acid. The amount of free amino acids of feral peach seed were 6,215.34 ms%,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827.25 mg%), threonine, valine and <TEX>$\beta-aminobutyric$</TEX> acid, respectively. Free amino acid contents of pulpy substance were 683.82 mg%,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339.49 mg%), serine proline, alanine and <TEX>$\gamma-amino-n-butyric$</TEX> acid. Especially, in the case of glutamic acid, it was highest. The compositions of major total fatty acid in the lipid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seed and pulpy sabstance were linoleic acid(<TEX>$C_{18:2}$</TEX>, n-6) and linolenic acid(<TEX>$C_{18:3}$</TEX>, n-3), particularl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