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 학습 적용 후 학생들의 주제 글쓰기를 분석하였고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서울 소재 C여자 고등학교 2학년 3개 학급의 학생 108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여 5개 주제에 대하여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같은 학교 3학년 3개 학급의 학생 99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주제 글쓰기는 '친환경 에너지'의 big idea 요소를 제외한 다른 모든 요소에서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났다(p<.05). '친환경 에너지'의 경우, 8개의 개념 중 6개의 개념, '판구조론'의 경우 8개의 개념 중 4개의 개념에 대하여 실험집단 학생들이 비교집단보다 주제 글쓰기에서 더 많이 서술하였다.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은 의문을 만들고 실험 설계와 수행, 자료해석, 주장과 증거를 만드는 동안 끊임없이 동료들과 논의를 하도록 안내된다. 또한 실험 결과나 주어진 자료의 해석을 통해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의 정확성, 충분성,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면서 자신의 추론 과정을 돌아보고 개념을 정교화, 명료화한다. 이러한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의 과정이 학생들의 주제 글쓰기의 big idea, 개념, 다중 표상, 논리적 구조 형성과 포함된 개념의 형성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 교육 현장에서 향후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와 같은 수업을 지속적으로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cience writing and perception of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argument-based claim and evidence writing approach. One hundred and eight grade 11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99 grade 12 students were assigned to a comparative group in their earth science classes. Students' science writings on two science topics were scored using an analytic rubric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in science writing was carried out using an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Students' perception on the instruction was examined using an open-ended survey. Science writing by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y the comparative group, except for the big idea of 'green energy'. For six concepts in 'green energy' and four concepts in 'plate tectonics, there were mor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ative group who indicated them in their science writing. Students' perception on the instruction was positive in that they mentioned planning and conducting inquiry, citing of claims and evidence, and developing inquiry questions were helpful in science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argument-based claim and evidence writing approach should be implemented in science classrooms for students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for scien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