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300명의 소비자들이 직접 먹어보고 평가한 한우고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쇠고기 맛 등급을 구분 해 내기 위한 판별분석 방법들을 비교하였다. 한우 관능평가의 주요 세 변수인 연도, 다즙성, 향미를 포함한 정준 판별분석과 대표적인 맛 변수로 여겨지는 전반적인 기호도 만을 이용하여 선형판별분석과 비모수 판별분석을 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와 같은 한 개의 변수만을 사용할 경우 두 가지 모두 비슷한 분류율을 나타내지만 선형판별 함수는 이해와 사용 측면에서 장점이 있었던 반면에 비모수적 방법은 커널함수와 띠폭에 대한 선택이 불편하지만 잘 선택하면 정확한 분류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다른 정보를 가진 변수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개의 변수만을 이용한 판별 분석은 판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중요한 변수들의 정보를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정준판별분석의 경우 정준판별함수의 오분류율이 일변량 선형 판별함수와 비모수 판별함수의 오분류율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분포에 대한 특별한 가정이 필요하지 않아 통계적 가정이 까다롭지 않고 또한 맛에 중요한 요인인 연도, 다즙성, 향미의 세 개변수를 모두 사용하므로 맛 정보를 최대로 활용한다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연도, 다즙성, 향미의 세가지 변수 정보를 모두 포함한 다변량 정준판별분석법을 이용하는 것이 맛 등급을 구분하는데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t effective analysis methods for palatability grading of Hanwoo beef by comparing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with sensory data. The sensory data were obtained from sensory testing by 1,300 consumers evaluated tenderness, juiciness, flavor-like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Hanwoo beef samples prepared by boiling, roasting and grilling cooking methods. For the discriminant analysis with one factor, overall acceptability, the linear discriminant functions and the non-parametric discriminant function with the Gaussian kernel were estimated. The linear discriminant functions were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while the non-parametric discriminant functions were not explicit and had the problem of selection of kernel function and bandwidth. With the three palatability factors such as tenderness, juiciness and flavor-likeness, the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and the ability of classification was calculated with the accurate classification rate and the error rate. The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did not need the specific distributional assumptions and only used the principal component and canonical correlation. Also, it contained the function of 3 factors (tenderness, juiciness and flavor-likeness) and accurate classification rate was similar with the other discriminant methods. Therefore, the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was the most proper method to analyze the palatability grading of Hanwoo beef.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