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전체모형을 검증하고, 성별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실증규명 하였다. 전공만족도, 진로적응성, 진로정체감, 고용가능성, 자아탄력성, 취업스트레스를 변인으로 사용 하였다. 광주지역 사회복지학과 246명의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과 잠재평균분석을 활용 하였다. 첫째, 남성과 여성은 전공만족도, 진로적응성, 진로정체감, 고용가능성, 자아탄력성, 취업스트레스는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경로의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 진로적응성, 진로정체감, 고용가능성은 자아탄력성과 취업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여성 집단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 보다 여성 집단이 자아탄력성과 취업스트레스에 보다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적응성, 진로정체감, 고용가능성,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방식은 남녀집단에서 차이가 있었다. 여성 집단이 남성 집단보다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취업스트레스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welfare of students and the Career Stress. This study verified the complete model equation through the structu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gender were significant. Majors Satisfaction, Career adaptability, Career Identity, Employability, ego-resilience, and Career Stress were used as variables. From the Gwangju Regional Social Welfare, 246 people were college student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atent mean analysis. The Male and Female's Majors Satisfaction, Career adaptability, Career Identity, Employability, ego-resilience, and Career Stress were similar. The impact on the path of ego-resilience and Career Stress was also similar. The Female group had a stronger impact than the ego-resilience and Career Stress Male. The Social Welfare of Students Majors Satisfaction, Career adaptability, Career Identity, Employability, ego-resilience Career Stress were different in the male and female group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