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 귀리 관련 식품 및 가공식품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국내 육성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분인 베타글루칸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현재까지 개발된 쌀귀리는 5개 품종으로 이들 품종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귀리 종실의 외관특성은 선양을 제외한 모든 품종이 장립종이었으며, 귀리 종실 및 가루의 백도 및 L값은 조양이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고, 단백질, 전분, 조지방 등 주요 구성성분은 품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베타글루칸 함량은 3.78-4.60% 수준으로 대양이 가장 높았으며, 총베타글루칸 함량에 대한 수용성베타글루칸 함량비율은 71-83%이었다. 쌀귀리의 지방산 조성은 C18:1, C18:2, C16:0, C18:0, C18:3 순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75.4-81.2%이었으며 대양이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품종마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대양이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전분함량과 단백질 함량은 부의 상관관계(r= -0.775)를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총페놀함량과 정의 상관관계(r=0.760)를 나타내었고,회분함량과 분말백도도 정의 상관관계(r=0.732)를 나타내었다. Due to increased consumption and demand for oat-related foods and processed food, this study examin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y, and <TEX>${\beta}-glucan$</TEX> contents of 5 Korean naked oat cultivars. Oat seeds had long-grain appearance in all cultivars except for Seonyang. The contents of main components such as protein, starch, and crude fa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ultivars. The total <TEX>${\beta}-glucan$</TEX> content was 3.78-4.60% and the soluble <TEX>${\beta}-glucan$</TEX> ratio was 71-83%. Fatty acid composition was C18:1, C18:2, C16:0, C18:0, and C18:3. Unsaturated fatty acid (USFA) content was 75.4-81.2%. 2,2-Diphenyl-1-picrylhydrazi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x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ach cultivar. Daeyang had the highest <TEX>${\beta}-glucan$</TEX>, USFA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Protein cont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arch content (r = -0.775). Antioxidant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phenol content (r =0.760). Ash content and flour white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 =0.732).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