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과 4학년생이 인식하는 사회복지사직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직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Q방법을 적용하여,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4년제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주관적인 반응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학과 4학년 학생들의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직업관 인식유형은 세 가지로 유형화될 수 있었다. 제 1 유형은 '직무비관적 현실회피형'으로 사회복지사직을 직무소진이 많고 업무량이 높다고 인식하며, 사회복지사직의 의미나 소명에 대해 비관적이다. 제 2유형은 '실천중심적 전문직추구형'으로 사회복지사직의 실천적인 측면을 중요시 여기며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사직을 추구하는 동시에 이를 위한 정책이나 제도에 의존하는 입장이다. 제 3 유형은 '가치지향적 자아실현형'으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가치나 윤리의 필요성을 중시하며, 사회복지사직을 통한 자아실현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전체적으로 보아 사회복지학과 4학년 학생들의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하며, 자아실현이나 전문직으로서의 자부심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사회복지사직의 가치에 대한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This research is involved in looking into the cognition pattern of social worker position of a fourth-year student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a basic data needed for education of the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get a job of a social worker. For this, applying Q methodology, this research made an objective analysis of their subjective response to social worker position targeting the 30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t the four-year-course college located in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cognition pattern of the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view on social welfare posi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three; The first pattern is a "job-skeptic & reality-evasive" type, who tends to perceive the position of a social worker as the one having a lot of job exhaustion and much workload, showing a pessimistic view on the meaning or a sense of mission of a social worker position. The second pattern is a "practice-centered & specialized-job-seeking type" who tends to think much of practical aspects of a social worker job and to seek after the position of a social worker as a specialized job, and at the same time to rely on the policy or system for a social worker position. The third pattern is a "value-oriented & self-achievement type", who tends to think much of the necessity of value or ethics in putting social welfare into practice and also to make much of self-achievement through the channel of a social welfare worker position. Taken together, it might be possibile to turn out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but this research thinks it is more necessary to place the education of values of a social welfare worker.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