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도서관과 환경', '그린도서관 사서', '환경정보원구축', '소음과 도서관', '환경적 대안으로서의 도서관구축' 등으로 녹색도서관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녹색도서관인증평가시스템에 의해 인증받은 도서관이 50개가 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녹색도서관 구축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내 외 녹색도서관으로 인증받은 녹색도서관 구축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은 LEED인증시스템의 여섯 가지 평가항목 즉, 친환경적 건설장소, 수자원활용의 효율성, 에너지 및 대기, 자재와 자원, 실내환경친화도, 친환경실내디자인을 기준으로 도서관 녹색화가 이루어진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인증은 건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도서관의 친환경성을 좀 더 확대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고 있는 도서관의 서비스, 콘텐츠, 도서관용품 등의 친환경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Since the 1990s, discussions regarding green libraries started in the U.S.A, in the name of 'library and the environment', 'Green librarians', 'constructing of environmental sources', 'noise and library', 'building libraries as an environmental alternative' and etc. Currently, green libraries certified by an evaluation system are more than 50. This study proposes a direction to build a green library. The study analyzes national and international green libraries certified by the evaluation system. The cases are analyzed based on the six evaluation factors in the LEED certification system; Sustainable Site, Water Efficiency, Energy and Atmosphere, Material and Resources,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Innovation and Design Process. Since the evaluation system focuses mainly on the architectural aspects, there was a need of expanding the concept of eco-friendly in this research. The newly expanded eco-friendly concept includes services, content, and supplies of librar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