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주성분분석을 활용하여 1995-2009년 동안의 보건의료비 지출을 소득수준별로 일인당 지출, 민간부문 지출, 공공부문 지출 및 총지출로 구분하여 사회후생 증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소득수준별 보건의료비 지출의 사회후생 증대효과는 세계전체 소득과 우리나라의 경우 부문별 지출에 따라 편차가 크고, 중간소득 국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고소득 국가, 저소득 국가, EU 국가 및 OECD 국가는 낮은 수준의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한편, 보건의료비 지출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일인당 지출은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사회후생 증대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민간부문 지출은 부문별 지출 중에서 사회후생 증대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공공부문 지출과 총지출의 경우 중간소득 국가가 크게 나타났으며 소득수준별로 편차가 큰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결과적으로 보건의료비 지출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사회후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현안이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보건의료비 지출이 공공성의 특성을 벗어나 시장기능에 의한 자원배분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Health care expenditure might be understood as a core source of social welfare. It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 health care expendi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social welfare. And, therefore, the paper is basically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improvement resulted from an increasing in per capita, private, public, and total health care expenditures during 1995-2009 periods. Empirical evidence reveals that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in middle income group reveals the highest improvement in social welfare, and the other income groups maintain a quite similar pattern in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As far as category of health care expenditure concerns,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improvement by per capita health care expenditure is in general lower in all case. And, private sector achieves the highest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in comparing with public and total health care expenditures. To this end, it could be tentatively concluded that the private health care expenditure has to be substituted for the public sector to induce market-oriented operational system. Accordingly, it would be better to build an institutional basis more elaborately in setting up the market syste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