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도시자연은 물리적 환경개선 기능은 물론 사회적, 정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학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학교 옥외공간을 비롯하여 인근에 조성된 녹지공간은 자연체험의 기회가 적은 도시 아이들이 가장 쉽게 자연을 접할 수 있는 일차적인 장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도시의 녹지현황을 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시 185개 초등학교를 선정하고, 학교 옥외공간을 포함한 반경 300m 이내(본 연구에서 '학교존'으로 정의) 주변 녹지 현황을 RapidEye 다중분광 인공위성 영상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존 평균 녹지율은 약 21%이고, 최고 74%에서 최소 0.7%까지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반수 이상의 학교존 녹지율이 20% 미만이다. 학교존 녹지율이 높은 학교 대부분이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산림면적이 학교존 녹지율을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며, 산림녹지의 경우 식생활력 또한 기타 도심지에 조성된 조경수목식재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존 녹지율이 낮은 학교들 대부분은 고밀 주택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녹지의 식생활력 또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도시산림을 제외한 시가화지역에서 학교존 녹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아파트단지내 조경녹지시설이며, 그 밖에 친환경적인 학교 옥외공간이나 가로공원 등 도시오픈스페이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도시계획적인 맥락에서 학교존 녹지율이 낮은 지역을 우선 대상으로 학교숲 조성사업을 지원하거나 주변지역의 옥상녹화를 장려하고, 학교주변 아파트단지내 녹지공간을 학교옥외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시오픈스페이스로 개방하는 등의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Urban nature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 In particular, schoolyards as well as the green spaces near school surroundings function as a primary space for urban children to experience nature in Korea, as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at school. In this study, the status of urban green spaces near school surroundings was examined. For the analysis, 18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and the green spaces within a radius of 300m(defined as 'school zone'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Rapid Eye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 data. The mean green space ratio of school zone accounts to about 21% with a high variation from 74% to 0.7% and more than half of the school zone have a green space ratio of less than 20%. Schools with a high green space ratio in their school zone are mostly located near urban forests, so forest areas particularly contribute to increase the green space ratio. Furthermore, forest vegetation shows relatively higher vitality than other green spaces located in urbanized areas. In contrast, schools with a low green space ratio in their school zone are mostly situated in high-density residential areas and the green spaces show relatively low vegetation vitality. Except for the urban forest, the majority of urban green spaces in urbanized areas are landscape green facilities in apartment districts. The other types of urban open spaces such as environmentally shaped schoolyards or street parks account only for a very small proportion of school surroundings.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in the context of urban planning; e.g. to promote the school forest projects preferentially by selecting schools with a extremely low green space ratio in their school zone, to foster roof greening in near surroundings, and to connect schoolyards organically with nearby apartment landscape green facilities as an easily accessible urban open spa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