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여중생과 여고생을 대상으로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내면화, 인식), 신체이미지(외모평가, 외모지향,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이 여중생과 여고생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청소년의 외모관리 지도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대상자는 K도에 소재하고 있는 여중생 186명, 여고생 198명이 선정되었다. 여중생과 여고생의 사회문화적 태도 중 내면화와 인식을 비교한 결과 여고생의 내면화와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여중생보다 높았다. 신체이미지 중 외모평가, 외모지향 역시 여고생이 여중생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신체만족도는 여고생이 여중생보다 낮았다. 여고생의 외모관리행동 중 체중관리, 의복관리, 얼굴관리 모두 다 여중생보다 관리를 더 하고 있었다. 여중생의 외모관리행동을 회귀분석 한 결과 40.5% 설명하였고,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인 내면화와 인식, 신체이미지 중 외모지향이었다. 여고생은 외모관리행동을 20.1% 설명하였으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신체이미지인 외모평가, 외모지향, 신체만족도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춘기 여학생을 위한 외모와 관련된 교육이나 상담 시 여중생과 여고생에 따라 다른 접근법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body image, and self-esteem predict the appearance manage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A descriptive compare design was used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completed by 384 subjects. Data was analyzed with t-test and regress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internalization, awareness), body image (appearance evaluation, appearance orientation, body area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weight management, cloth management, face management) between the two group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internalization, awareness) and appearance orientation of body image were predi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in middle school girl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for high school girls were body image (appearance evaluation, appearance orientation, body area satisfaction). The study gives new suggestions that there is necessary different methods to educate and council for appearance manage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