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함으로써,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원리와 교육 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읽기 이해 구성주의 모형과 읽기 이해 전략 모형에 따라 미성취 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미성취 영재의 조작적 정의에 근거하여 36명의 미성취 영재학생을 판별하였다. 판별된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램 전 후 읽기 이해 능력, 읽기 메타 인지 능력, 학교 성적 등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읽기 이해 전략을 이외의 다른 미성취 요인들로 인한 미성취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미성취 영재 학생과 그들의 선생님을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과 읽기 이해 능력을 신장시켰으며, 그들의 학업 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미성취 영재로 판별된 36명의 학생들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12명이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성취 수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들에게 읽기이해 전략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학습전략을 체득하도록 하는 것은 그들의 미성취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ndled underachievement issue of gifted students by developing and validating educational programs as a solution, or relief, of their academic underachievement problems. The proposed educational program was designed to enhancing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gifted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Based on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found that key issues of underachievement have to do with learning strategy, and also that learning strategy was established as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Considering diverse reading comprehension models and strategies suggested by preceding studies,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in Korean was customized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on the middle school level.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as a solution to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was explored by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to 36 identified students after school twice a week for 6 weeks, conducting pre- and post-tests that were selected to measur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collect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data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y this study, and interviewing studen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ading metacognition ability,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school grades of gifted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were meaningfully improved as a group. On the individual level, 12 identified students, exactly one third of the whole group of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showed so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as we can say they overcame underachievement based on the Supplee's defini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