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낙동강 하류지역에 도래하는 조류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도래현황과 서식지 환경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낙동강 하류에서 총 114종 94,481개체가 관찰·기록되었다. 이 중 종수와 개체수에서 대마등(Ⅰ)이 55종 21,781개체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는데 낙동강 하류의 전지역 중에서 대마등과 주변의 갯벌이 채식지와 휴식지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류군집의 특성에서, 논병아리류는 하구언 아래(을숙도)지 역, 가마우지류는 수심 이 깊은 낙동강 본류와 서낙동강의 주변, 고니류와 혹부리오리 및 도요·물떼새는 하구언 하단부의 수심이 얕은 갯벌,수면성 오리류는 서낙동강(F)과 염막(C)지역, 잠수성 오리류는 비교적 수심이 깊고 서식 여건을 갖추고 있는 하구언 상단부와 서낙동강의 녹산수문 상단부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기타 산새류는 염 막(C)과 을숙도(A) 및 서낙동강(F)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것은 을숙도 쓰레기 매립장의 인공 식재림, 일웅도의 유휴지와 염막으로 연결되는 지역으로 물새와 함께 일반 조류들의 서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낙동강 하류지역은 낙동강 하구와 주남저수지의 사이에서 오리 기러기류의 채식지 및 휴식지로서 중요한 지역이지만 계속해서 개발의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역 중의 한 곳이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는 수변지역으로는 대저수문지역(E), 서낙동강(F)의 녹산수문 상단부와 경작지로서는 염막(C)지역으로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자연적인 서식지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철저한 관리가 요망되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The survey of birds in Nakdong River Basin was conducted from March in 2003 to February in 2004. This study shows that the population of birds was 94,481 individuals and 114 species. The bird recorded in Daemadeung (Ⅰ) was 21,781 individuals and 55 species. It is surrounded with silt to have a better condition for a habitat and the rest place than other areas in the Nakdong River Basin. In the traits of the groups, Grebes were well established in the lower estuary(Eulsook islet), Cormorants in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and around West Nakdong River (F). Swans, Shelduck and Shorebirds were using silt in the lower estuary where the depth of water is shallow, dabbling ducks were also established in West Nakdong River (F) and Yummak (C), diving ducks in the upper Nosan Watergate in West Nakdong River (F). Besides, land birds was distributed in the Yummak (C), Eulsook islet (A) and West-Nakdong River (F). Because they are connected with the artifical forest in Eulsook Islet Garbage Field and Ⅱwoong islet, it is good for the land birds and the water birds to have a habitat in this kinds of vacant lot. The Nakdong River Basin is not only an important area as the habitat and rest place for ducks and geese but also one of the areas where we can not get out of the temptation to development. To preserve effectively the natural habitat from human s intervention, it needs to keep supervising in Daejeo Watergate (E) and the upper area Noksan watergate in West Nakdong River (F) and Yummak (C).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