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영상을 주의 깊게 시청하는 관객은 보이는 영상의 성격에 따라 여러 심적 변화를 경험한다. 기쁨, 슬픔, 놀람 등 관객이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정 상태는 심리학에서 많이 활용되는 제임스 러셀(James Russell)이 정의한 감정 원형모형을 통해 정리된다. 관객이 느낄 수 있는 감정들 중에서도 특히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가 언급한 언캐니(uncanny)는 기존의 명료한 정서적 개념들의 틈새에 존재하는 첨예한 중간자로 대변된다. 언캐니 현상은 비윤리적으로 인식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관객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불쾌한 부분이 쾌로 수용되는 상태, 즉 사회적 금기에 대해 긍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이는 사회윤리적인 해석과 더불어 명확한 수리적 분석이 후행될 때 비로소 첨예한 심리상태로서 분석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감정 원형모형과 언캐니 상태를 분석하고, 관객의 언캐니 상태에 관한 가설을 설립하여 ECG(Electronic Cardiogram)와 GSR(Galvanic Skin Response) 신호 측청과 같은 생체신호 실험을 수치화한 결과를 러셀의 감정 원형모형을 기반으로 분포, 거리, 시간 등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Audience observing visual media with care experience lots of emotional transi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media. Enjoy, sadness, surprising, etc, a variety of emotional state of audiences is often arranged by James Russell's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utilized on psychology. Especially, in various emotions, 'Uncanny' mentioned by Sigmund Freud is represented a sharp medium existing in a crack of clearly emotional conception. Uncanny phenomenon is an emotional state of changing from unpleasant to pleasant on an audience observing visual media is been aware of immoral media generally, therefore, because this is a positive state on a social taboo, we need to analyze with a scientific analysis clearly. Therefore, this study will organize James Russell's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and uncanny phenomenon, will be progressed to establish a hypothesis about a state of uncanny on audiences observing visual media and analyze results of the physiological signals experiment based on ECG(Electronic Cardiogram), GSR(Galvanic Skin Response) signals with distribution, distance, and moving time in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