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디지털 워터마킹은 인간의 감각으로 감지할 수 없고 통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는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에 삽입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음향 신호에 대한 워터마킹은 의미 있는 정보를 갖는 이진 시퀀스를 원래의 디지털 음향 신호에 삽입하여 구현한다. 그러나 삽입된 이진 정보는 원래의 디지털 음향 신호의 관점에서는 잡음으로 작용하여 원래의 음향 신호를 왜곡 시키거나 열화 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가청 주파수 영역에서 이진 정보의 삽입으로 인한 원 음향 정보의 왜곡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진 정보 발생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표준부호 디지트 코딩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인접한 데이터간의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 하여 인간의 가청 주파수 영역에서의 이진 정보 시퀀스의 영향을 최소화 하도록 구현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일반적인 이진 정보발생 방법과 주파수 분석 비교를 통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Digital watermarking is imperceptible and statistically undetectable information embeds into digital data. Most information in digital audio watermarking schemes have used binary random sequences. The embedded binary random sequence distorts and modifies the original data while it plays a vital role in security. In this paper, a binary random sequence to improve imperceptibility in perceptual region of the human auditory system is proposed. The basic idea of this work is a modification of a binary random sequ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sis of adjacent binary digits that have different signs in the sequence. The canonical signed digit code (CSDC) is also applied to modify a general binary random sequence and the pair-matching function between original and its modified version. In our experim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binary random sequence was evaluated and analyzed by Bark scale representation of frequency and frequency gain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