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논에서 생육특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두과 사료작물을 선발하기 위해서 천안(국립축산과학원)과 나주(전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논에서 2004부터 2006년까지 수행되었다. 두과 사료작물은 자운영, 크림손 클로버, 사료용 완두 그리고 헤어리 베치 초종을 공시하였고 각 초종의 품종은 자운영에서 국내에서 자생하는 품종(야생종)과 크림손 클로버(C.V. Linkarus), 사료용 완두(C.V. Austroan pea), 헤어리 베치(C.V. Oregon common)을 각각 공시하였다. 나주지역에서 수행되었던 두과 사료작물의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빠르고 Forage pea 초종이 가장 늦었다. 크림손 클로버 초종의 생초, 건물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28,870, 6,986 그리고 943 kg/ha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자운영에서는 9,885, 1,749 그리고 338 kg/ha으로 가장 적었다. 천안지역 논에서는 자운영이 가장 빠르고 헤어리 베치 초종에서 가장 늦었다. 헤어리 베치 초종의 생초, 건물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7,916, 1,141 그 리고 113 kg/ha으로 가장 많았고 자운영에서 270, 42 그리고 8 kg/ha으로 가장 적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4.3%로 높았고 자운영에서 19.3%로 가장 높았으나 헤어리 베치 초종에서 9.9%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논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을 고려한 결과 나주지여에서는 크림손클로버 초종이 우수하고 천안지역에서는 헤어리 베치 초종이 우수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induced annual legumes at paddy field of Cheonan and Naju from 2004 to 2006. Chinese milk vetch (wild type), crimson clover (C.V. Linkarus), forage pea (C.V. Austrian pea), hairy vetch (C.V. Oregon commen) were used in this study. At the Naju region, the earliest flowering on 2nd may was found in Chinese milk vetch, while the latest on 18th May in forage pea. Fresh, dry matter (DM) and crude protein (CP) yields of crimson clover were highest as 28,870, 6,986 and 943 kg/ha, respectively. but the yield of chinese milk vetch was low by 9,885, 1,749 and 338 kg/ha. At the Cheonan region, the most fast flowering date variety was Chinese milk vetch, hairy vetch was very late as 19th May. Fresh, DM and CP yields of hairy vetch were highest as 7,916, 1,141 and 113 kg/ha, respectively. but the yield of chinese milk vetch showed the lowest by 270, 42 and 8 kg/ha. The CP content of annual legumes was 14.3%. chinese milk vetch showed the highest CP content by 19.3% and hairy vetch showed the lowest content by 9.9%. The present data showed that the productivity was closely dependent on winter hardness, in conclusion, crimson clover at Naju and hairy vetch at Cheonan region was suggested to be the most proper species as winter crop after rice harvest on paddy field when considered the winter hardines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