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광산주변의 광해대책 없이 방치된 대부분의 잔류광미는 광산지역의 하류 농경지뿐만 아니라 재배 작물의 중금속 오염의 주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폐금속광산의 중금속 오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25개 광산 주변에서 채취한 광미를 대상으로 수용성, 산가용성 및 전함량 중금속을 분석 검토하였다. 광미 중 수용성 무기이온들의 함량은 <TEX>${SO_4}^{2-}>Ca^{2+}>Mn^{2+},\;Na^+,\;Al^{3+}>Mg^{2+},\;Fe^{3+}>Cl^-$</TEX>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pH, EC, <TEX>${SO_4}^{2-}$</TEX> 및 <TEX>$Ca^{2+}$</TEX> 함량은 광산별로 큰 편차를 보였다. 광미중의 중금속 전함량은 Cd 31.8, Cu 708, Pb 4,961, Zn 2,275 및 As 3,235 mg/kg이었고, 중금속 중 Cd, Zn 및 As는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대책 기준을 초과하였다. 광미 중 전함량에 대한 수용성 중금속 비율은 Cd > Zn > Cu > Pb > As 순으로 높게 나타나 토양 환경내에서 이동성이 높은 순위와 일치하였다. 또한 0.1M-HCl 산가용성 침출비율은 각각 Cd 17.4, Cu 10.2, Pb 6.5, Zn 6.8 및 As 11.4%(1M-HCl 추출성)이었고, 광미 중 중금속 전함량에 대한 수용성 함량비율은 화학성분 조성과 관련성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광미중의 중금속 부화계수(EF)는 As > Pb > Cd > Cu > Zn 순이었고, 오염지순(PI)는 Au-Ag 광산이 다른 광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광산 주변 광미의 중금속 부화계수와 오염지수를 근거로 볼 때 심각한 수준으로 중금속이 농집되어 있어 폐광산 주변의 주요 오염원은 광미를 포함한 광산폐기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따라서 폐광산 주변에서 중금속을 다량 함유된 광미의 유실 및 강우에 의한 유출은 하부 수계 및 농경지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키며,특히 산성 황화물을 함유하는 광산폐수는 산성배수를 일으켜 중금속 용출 부화를 가중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Most of the tailings have been left without any management in abandoned metalliferous mines and have become the main source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soils and crops in the these areas. To compar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tailings derived from various 25-metalliferous mines in Korea, 3 different analysis methods such as water soluble, 0.1 M-HCl extractable, and total acid digestion method (aqua regia) were us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water soluble in mine tailing were in the order <TEX>${SO_4}^{2-}>Ca^{2+}>Mn^{2+},\;Na^+,\;Al^{3+}>Mg^{2+},\;Fe^{3+}>Cl^-$</TEX>. Specially, pH, EC, <TEX>${SO_4}^{2-},\;and\;Ca^{2+}$</TEX> concentrations in tailing varied considerably among the different mines. The average total concentrations of Cd, Cu, Pb, Zn, and As in tailing were 31.8, 708, 4,961, 2,275 and 3,235 mg/kg, respectively. Specially, the contents of Cd, Zn and A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untermeasure values for soil contamination (Cd : 4, Zn : 700 and As : 15 mg/kg in soil) by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in Korea. The rates of water soluble heavy metals to total contents in tailings were in the order Cd > Zn > Cu > Pb > As. The rates of 0.1M-HCl extractable Cd, Cu, Pb, Zn, and As (1M-HCl) to total content were 17.4, 10.2, 6.5, 6.8 and 11.4% respectively. The enrichment factor of heavy metals in tailings were in the order As > Pb > Cd > Cu > Zn. The pollution index in tailing Au-Ag mine tail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mine tailing. As a results of enrichment factor and pollution index for heavy metal contaminations in mine tailing of metalliferous mines, the main contaminants are mine waste materials including tailing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