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을 측정하고 지역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공보건시설의 수요에 해당하는 인구를 대시메트릭 매핑기법을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미시적인 수준에서 구축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접근도를 측정하였다. 최소거리 기반의 공공보건시설의 접근도 측정결과, 군지역과 읍면지역은 거주지로부터 각각 1,845m와 1,777m가 떨어져 있었다. 강원도와 경상북도에 입지하고 있는 지역들이 상대적으로 접근도가 낮았으며, 면지역의 접근도가 읍지역보다는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도의 현황과 지역 간의 격차를 구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향후 공공보건시설의 입지를 탐색하고 의료시설의 전달체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potential accessibility of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in rural areas. Population is prepared and analyzed in spatially microscopic level using dasymetric mapping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to public facilities which is conducted using shortest distance, Gun areas and Eup/Myeon areas are 1,845m and 1,777m from residential areas respectively. Areas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have relatively low accessibility while Eup areas tend to have higher accessibility.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status quo of and regional differences of potential accessibility of rural public facilities in Korea. Furthermore, the findings are also meaningful as they can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to locate the facilities and improve the service delivery of medical facilit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