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의 맥락에서 서비스회복 공정성지각과 고객의 감정반응 및 회복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4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항공사에 불평을 제기한 경험이 있는 272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절차공정성은 긍정감정에 정(+)의 영향을, 부정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공정성과 분배공정성은 두 변수 모두 긍정감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부정감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반응이 회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는 긍정감정은 회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부정감정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rceived justice of service recovery, customer's emotion and satisfaction in the airline service sector. For this purpose, using a sample of 272 airline service customers who experienced complaints with airline service,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imensions of perceived justice on the emotions triggered by service recovery. In this study, 4 hypothes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were employed. The data and hypotheses were examin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by AMO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ocedural justice has an effect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Secondly, both interaction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ha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 but not on negative emotion. Lastly, only positive emotion has influence on recovery satisfac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