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특정 종돈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종돈에 대한 번식형질 및 산육형질들에 대한 유전변이를 추정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개량을 진행한 국내 모종돈장에 있는 돼지(Landrace, Large white, Duroc) 2,447두에서 조사된 9,886복의 번식자료(실산자수, 이유자 돈수)와 10,181두의 산육검정자료(등심단면적, 90 kg 도달일령, 등 지방두께, 정육률)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번식형질 및 산육형질에 적합한 모형을 찾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번식형질에서 품종효과, 교배웅돈효과, 산차효과, 분만시 년도-계절효과, 산육형질에서 품종효과, 분만시 년도-계절효과, 성의 효과, 모산차 등이 환경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혼합모형방정식에 적합시켜 유전모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번식 형질의 실산자수에 대한 유전력은 0.07, 모체 유전효과에 대한 유전력은 0.02로 추정되었고 이유자돈수의 유전력은 0.03, 모체 유전효과에서 0.02로 추정되었으며 이들 두 형질 간의 유전상관은 0.14, 모체 유전효과에 대한 상관은 0.06로 추정되었다. 또한 등심 면적의 경우 0.19, 90 kg 도달일령은 0.39, 등지방두께 및 정육률은 각각 0.36 및 0.43으로 번식형질에 비해 높은 유전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등심단면적과 등지방두께 간에는 0.04로 유전적 상관관계가 없으며, 등심단면적과 정육률 간에는 0.35로 중도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에 등지방 두께와 정육률 간은 -0.42로 중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등지방두께와 90 kg 도달일령 간에는 유전상관이 없는 것(0.00)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번식형질과 산육형질 간 유전상관은 등지방두께를 제외한 나머지 산육형질에서 번식형질과의 부의 상관을 보여, 번식형질 또는 산육형질을 독자적으로 개량하고자 할 때, 부의 관계가 있는 형질과의 유전적 관계를 고려한 개량목표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for reproductive and productive traits and to apply their estimates to selection strategies in a swine population. Reproductive and productive traits considered in this study were number of born alive piglet (NBA), number of weaned piglet (NW), loin eye area (LEA), days to 90 kg (D90KG), back fat thickness (BF), and lean meat content (LEAN). Data were collected from 9,886 litters on 2,447 sows for reproductive traits and 10,181 gilts and boars for productive traits from Jan. 2000 to Dec. 2008 in a swine GGP farm. The statistical model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for considering traits was a multiple traits animal model with including animal and maternal additive effects and litter effects on reproductive traits and animal additive effects on productive traits as random as well as some of fixed effects. For estimating (co) variance components of several random effects,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methodology was used on this assumed model. The estimated heritabilities by animal additive effects and maternal effects were 0.07 and 0.02 for NBA and 0.03 and 0.02 for NW, respectively. Genetic correlation estimate for direct genetic effects between NBA and NW was 0.14. Heritability estimates for direct genetic effects were 0.19, 0.39, 0.36, and 0.43 for LEA, D90KG, BF and LEAN, respectively. The genetic correlation of LEA with LEAN was 0.35. Productive traits were antagonistically correlated with reproductive trait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if selection is done for strong positive effects of reproductive traits, then this would decline productive performan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