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시각흐름 속도에 따른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M재활전문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중 무작위로 31명을 선정하였고 대상자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몰입하여 보행분석기 위에서 보행을 실시하였으며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4가지 조건은 정상 보행과 0.25배, 1배, 2배의 시각흐름 속도변환 가상현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중재동안 보행분석은 GaitRite보행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보행 속도, 분속수, 활보장, 보장, 단하지지지 시간, 양하지지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0.25배의 느린 시각흐름 가상현실 프로그램에서 연구 대상자는 보행속도, 분속수, 환측 활보장, 건측 활보장, 환측 보장, 건측 활보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환측 단하지지지시간, 건측 단하지지지시간, 환측 양하 지지지시간, 건측 양하지지지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또한 2배의 빠른 시각흐름 가상현실 프로그램에서 연구 대상자는 보행속도, 분속수, 환측 활보장, 건측 활보장, 환측 보장, 건측 활보장, 환측 단하지지지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건측 단하지지지시간, 환측 양하지지지시간, 건측 양하지지지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따라서 가상현실 보행 프로그램의 적용 속도에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이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의 운동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visual flow speed's modulation-based VR(virtual reality) program on gait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irty one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at Dep.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M hospital in Seoul. We carried out the gait analysis by dividing them with four conditions : one condition had applied without the visual flow modulation-based VR and another had done three visual flow speed's modulation-based VR(0.25, 1, 2 times). The gait analysis was used with GaitRite system.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gait velocity, cadence, stride length, step length, single support time, and double support time during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low visual flow(0.25 times)-based VR program on the condition was significant decrease gait velocity, cadence, stride length, step length and increase single support time, double support time(p<.05). Second, the fast visual flow(2 times)-based VR program on the condition was significant increase gait velocity, cadence, stride length, step length, single support time on paretic lower limb and decrease single support time on non-paretic lower limb, double support time(p<.05). Third, the normal visual flow(1 times)-based VR program on the condition was not significant differ gait velocity, cadence, stride length, step length, single support time, double support time. In conclusion, the visual flow speed's modulation-based VR program improves gait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