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가상 야외 답사(VFT)는 전통적인 야외 답사의 매력적인 대안으로 간주되지만, 지구과학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를 활용한 지구과학 수업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과 화산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 활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처치 사전 및 사후에 공간 시각화 능력 및 화산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업 처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과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공간 시각화 능력 향상 정도가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공간 시각화 능력의 세 가지 하부 범주 중 공간 조작 능력 향상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범주에서 실험 집단의 화산 개념 이해 향상 정도가 통제 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나, 1개 범주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셋째, VFT 활용 후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공간 시각화 능력과 화산 개념 이해 간의 상관관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While virtual field trips (VFT) are consider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traditional field experience, it is unclear how VFT are best used in Earth Science curriculu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lash panorama-based VFT on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clas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treatment, we conducted pre and post-test on participa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and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nd linear regressio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in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especially in spatial manipulation category. Second, the change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in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most of the categories, but it i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Last, the change in correlation between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in experimental group was remarkably high compared to control group.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