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부산 도시공원 32개소를 대상으로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따른 공원의 변화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도시공원의 변화과정을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검토하기 위해 부산시에서 편찬된 도시계획사 관련 서적, 부산시보 고시공고, 도시공원 유원지 녹지현황 내부 자료, 결재문서 등을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일본 거류지역 일본인에 의해 조성된 대정공원, 고관공원, 용두산공원은 시가지 공원계획 이전부터 공원으로 이용되었으며, 이러한 공원을 포함한 1944년 법적으로 명시한 32개소의 공원은 방재기능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해방이후, 한국전쟁의 혼란한 시기와 도시계획 재정비로 인해 공원부지는 무허가 건축물 난립, 주택건설, 상업지, 공공청사 및 학교 건립 등으로 이용되었으며, 그에 반해 도심지에 위치한 도로공원과 대부분의 소공원은 폐지되었다. 하지만, 그린부산 정책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당시 도심 외곽에 계획된 미집행 공원은 도시 성장으로 도심지에 위치한 주요 공원으로 자리 잡아, 쾌적한 도시형성을 위한 공원사업으로 연지공원, 양정공원, 당곡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32개소의 공원은 부산 도시형성 과정의 시대상을 반영하여 폐지 또는 조성되었다. 폐지된 공원은 개발압력에 토지매입 효율성이 낮다고 판단된 공원이며, 조성되고 있는 공원은 개발이 용이하지 못했던 위치에 입지한 공원이다. 따라서, 공원이 사회공통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공원 부지의 토지매입 여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hange of 32 urban parks designat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ccording to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ity in Busan. Particularly, researching included analyizing books, notification, data, and documents relevant to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published by Busan city. As a result, Daejeong Park, Gokwan Park, and Yongdusan Park had been utilized by Japanese resident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fore planning of urban parks, and 32 parks legally specified in 1944 were planned by considering the prevention against disasters. After emancipation, there were an unauthorized building, housing construction, business district, public office, and school facility in the sites of the park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and reorganization of urban planning. The majority of parkways and small parks downtown were eliminated. However, unexecuted parks that the government had designed on the edge of tow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become major parks downtown through the city's growth. Yeonji Park, Yangjeong Park, and Danggok Park have been being building as a business of parks for a comfortable city, forming downtown along with the Green-Busan Policy. Thus, 32 parks designat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ve made or got out of use reflecting on the phases of the times of modern Korean society. It turns out that these parks need an investigation about condition for land possession and purchase of the site of the parks in order for social common capital.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