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잠재유형을 분류한 후, 사회경제적 지위 잠재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9년도 전국노인학대실태조사의 자료 중, 65세 이상 독거노인 1,33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잠재유형분석 및 일원변량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5개의 잠재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고학력-저소득 집단, 저학력-저소득 집단, 중간학력-저소득 집단, 고학력-고소득 집단, 저학력-고소득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저학력-저소득 집단이 저학력-고소득 집단, 고학력-저소득 집단, 고학력-고소득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중간학력-저소득 집단이 고학력-저소득 집단과 고학력-고소득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저학력-고소득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고학력-고소득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학력-저소득 집단에 비해 고학력-저소득 집단, 중간학력-저소득 집단, 고학력-고소득 집단, 저학력-고소득 집단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제변수가 추가 투입된 모형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독거노인의 하위집단별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와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to explore whether those of socioeconomic status influenced self-esteem among elderly living alone. From the data of 2009 National Elder Abuse Investigation, 1,333 older adults who were over 65 years and living alone were analyzed. Latent class analysis,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of this study found 5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named as high education-low income group, low education-low income group, middle education-low income group, high education-high income group, and low education-high income group. Nex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depending on 5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Finally, compared to low education-low income group, high education-low income group, middle education-low income group, high education-high income group, and low education-high income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eve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ed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public policy for elderly living alon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