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홍삼 추출물(5종)과 흑삼 추출물(2종)과 중국산 인삼 추출물(9종)의 말톨 정성, 지방산 조성비,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패턴 분석하여 특징적 요인을 정하고, 이를 통해 추출물의 정성 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측정하였다. TLC를 이용한 maltol의 분석에서 백삼 추출물은 모두 불검출, 홍삼 흑삼 추출물은 모두 검출되어 말톨의 검출 여부는 정성 분석을 위한 특징적 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지방산 조성의 경우 palmitic과 linoleic acid가 인삼 추출물의 주요 지방산이었고, palmitic은 백삼, linoleic 은 홍삼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이 두 지방산의 조성을 비교한 비율Pal/Lin)의 경우 백삼 추출물에서 56.7~64.3%, 홍삼 추출물에서 32.0~38.5%로 두 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이 수치 역시 분석을 위한 특징적 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페놀성 화합물의 경우 추출물 속에서 maltol, caffe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와 cinnamic acid의 존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백삼 추출물은 페놀성 화합물이 비슷한 비율로 존재하는 패턴을 보였지만, 홍삼 추출물은 말톨의 함량비가 크게 높았다. 페놀성 화합물 중 maltol과 cinnamic acid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 백삼 추출물에서는 5이하의 수치가 나온데 비해 홍삼 흑삼 추출물에서는 53~289의 수치를 보여 이 역시 정성 분석을 위한 특징적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실험 결과에 의해 선정된 Pal/Lin 비율과 maltol/cinnamic acid 비율과 같은 특징적 요인을 통해 인삼 추출물에 대한 정성 분석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maltol quality, composition ratio of fatty acids,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in white ginseng extracts(four types), red ginseng extracts(five types), black ginseng extracts(two types), and Chinese ginseng extracts(nine types). By examining patterns in these measurements, we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extracts and measured the possibility of qualitative analysis. In the analysis of maltol using TLC, white ginseng extracts were not detected while red and black ginseng extracts were detected, so the possibility of detection was considered as a characteristic factor for qualitative analysis.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palmitic and linoleic acids were the main fatty acids in the ginseng extracts palmitic acid was high in white ginseng extracts while linoleic was low in red ginseng extracts. Regarding the ratio(Pal/Lin) of the two fatty acids,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between white ginseng extracts(56.7~64.3%) and red ginseng extracts(32.0~38.5%), and these figures seemed to be characteristic factors for the analysis. For the phenolic compounds, extracts contained maltol, caffe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and cinnamic acid. White ginseng extracts contained similar percentages of phenolic compounds while red ginseng extracts had high maltol conten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ercentages of maltol and cinnamic acid, white ginseng extracts showed values below five, whereas red and black ginseng extracts showed 53~289, which was also a characteristic factor for qualitative analysis. Consequently, we found that we can differentiate between ginseng extracts using characteristic factors that we analyzed in an experiment on white ginseng extracts from China.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