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공적 이전소득과 사적이전 소득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자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아노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논의 하였다. 첫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에 따른 삶의 만족도, 자존감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적이전소득중 자녀로 부터의 보조금과 공적이전소득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와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적이전 소득 중 민간.개인보조금은 적을수록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노인의 경제적 자립이 자존감을 높이는 계기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좀 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공적이전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사적이전소득 중 자녀로 부터의 보조금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므로 가족 간의 지속적인 관심과 유대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ublic and Private transfers in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y influence to understand. Analysis of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Study the following points were discussed. First, the elderly public transfer and Private transfers in accordance with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was significant. Second, private transfers from children in public transfer income subsidies and the more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respectively. Third, the private sector of private transfers. Individual grants fewer higher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Economic independence of the elderly a chance to increase the self-esteem that was found. Therefore, a more practical and should be supported by specific public transfer syste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