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동부지역 섭지코지 일원에 분포하는 선돌 분석구와 그 주변의 현무암질 화산암류를 주 대상으로, 암석기재, 주원소 및 미량원소의 특성 등을 분석하여 선돌 분석구의 화산과정과 현무암의 암석학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선돌 분석구의 하부는 스패터 위주로, 그 상부는 적갈색 화산탄을 포함하는 화성쇄설물질이 우세하며 최상부 표층부에는 흑색의 스코리아가 다량 분포한다. 이들 화산작용은 스트롬볼리 분출상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마지막에는 하와이 용암 분출상으로 용암이 분화구를 충진한 후 동북쪽으로 흘러넘치면서 분석구를 파괴하고 북쪽으로 흘러 용암 델타를 형성하였다. 분석구 중심부의 암경은 현무암으로 채워져 있다. 이 지역의 화산활동 시기는 대략 <TEX>$95\;{\pm}\;3\;ka$</TEX>에 해당한다. 연구 지역의 현무암은 전이 현무암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감람석과 단사휘석의 정출이 분화작용에 주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며, 동일마그마에서 기원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판내부 현무암에 해당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etrology of basalt and the volcanic process in the Seondol cinder cone, Seobjikoji area, eastern Jeju Island. The Seondol cinder cone is mainly composed of spatters in the lower part, pyroclastic deposits including reddish brown blocks, ashes with volcanic bombs in the middle part, and dark black scoria deposits in the upper part. The volcanic sequences suggest volcanic processes that progress through Strombolian eruption and end with Hawaiian lava effusion which breached the cinder cone northwestward and extended over northwestward as lava delta and basalt emplaced as a volcanic neck in the central part of crater in the cinder cone. The age of basalt lava flows is about <TEX>$95\;{\pm}\;3\;ka$</TEX>. The basalts belong to transitional basalt and show products of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clinopyroxene and olivine from a parental basalt magma on the basis of variation diagram of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Basalts in the region of this study are plotted at the region of within plate basalt.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