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임상도 상의 특성인 영급, 경급 및 수관밀도를 이용하여 임목의 축적 및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가산림조사(강원도 중심)를 바탕으로 한 임목축적 자료를 임상도 제작 당시의 축적으로 전환하였으며, 이 자료와 임상도 특성과의 관계를 수량화I방법을 통하여 임목축적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임상도 특성이 임목축적 추정에 기여하는 바를 알 수 있는 제곱 편상관계수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영급이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었으며, 다음이 수관밀도, 임상, 경급의 순이었다. 임목축적 추정치 중 최소치는 활엽수림의 영급 II, 경급 '소', 수관밀도 '소'인 분류기준에서 ha당 <TEX>$20.0m^3$</TEX>이고, 최대치는 침엽수림의 영급 VI, 경급 '대', 수관밀도 '밀'인 분류기준에서 ha당 305.0이었다. 임상별로 침엽수림은 ha당 <TEX>$30.5{\sim}305.0m^3$</TEX>, 활엽수림은 ha당 <TEX>$20.0{\sim}200.4m^3$</TEX>, 혼효림은 ha당 <TEX>$23.8{\sim}238.1m^3$</TEX>로 추정되었다. 임상별 탄소저장량을 비교해 보면, 임상에 무관하게 경급 '대', 수관밀도 '밀'인 분류기준에서 임목축적에 따른 영급별 탄소저장량이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임상도 특성을 이용한 임목축적 추정은 산지 전용 또는 산지 재해에 의한 임목축적의 감소 및 탄소저장량 변화를 충분히 추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일선 산림관계자 또는 정책입안자의 산림경영 의사결정에도 유효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a method to estimate growing stock and carbon stock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type map such as the age-class, DBH class and crown density class. We transformed the growing stock data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mainly Kangwon-do province) onto those of time when the forest type map was established. We developed a simulation model for the growing stock using the transformed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type map by the quantification method I. By comparing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we found that quantification of growing stock was largely affected by age-class followed by crown density class, forest type and DBH class. The growing stock, was estimated as minimum in the broadleaved forest with age-class II, DBH class 'Small', and crown density class 'Low' as <TEX>$20.0m^3/ha$</TEX>, whereas showed maximum value in the coniferous forest with age-class VI, DBH class 'Large', and crown density class 'High' as <TEX>$305.0m^3/ha$</TEX>. The growing stock for coniferous, broadleaved, and mixed forest were estimated as <TEX>$30.5{\sim}305.0m^3/ha$</TEX>, <TEX>$20.0{\sim}200.4m^3/ha$</TEX>, and <TEX>$23.8{\sim}238.1m^3/ha$</TEX>, respectively. When we compared the carbon stock by forest type, the carbon stock by age class based on growing stock was maximum when DBH class was 'Large' and crown density class was 'High' regardless of forest type. This estimation of growing stock by using characteristic of forest type can be used to estimate the changes in growing stock and carbon stock resulting from deforestation or natural disaster. In addition, we hope it provide a useful advice when forest officials and policy makers have to make decisions in regard to forest manageme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