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대규모 지진 전/후에 이온층에서 발생하는 총 전자수(TEC)의 이상 변화를 재 확인하고, 국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발견되는지를 조사하였다. 먼저 최근 지진관련 이온층 변화가 보고되었던 국외 대규모 지진들과, 근래에 발생한 규모 7.8 에콰도르 강진에 대해 TEC를 계산하고, 지진 발생 전 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TEC 계산 결과, 선행 연구들과 유사한 TEC 변화 시계열을 얻을 수 있었으나, 시계열들이 후처리되는 방법에 따라 전조현상 또는 후지진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들에 대하여 지진에 의한 TEC 변화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나, 2016년 경주지진을 포함한 가장 높은 규모의 국내지진들과 관련하여 지진 전/후에 TEC의 이상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 이는 판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국외의 대규모 지진들에 비해, 국내 지진이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탄성파(음파) 에너지가 작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We investigated pre- and post- seismic total electron content (TEC) anomalies in ionosphere caused by recent large-scale earthquakes around the globe and additionally examined whether the similar phenomena are detected in connection with the earthquakes around the Korean Penisula. TEC anomalies associated with the large-scale earthquakes showed the similar results to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we newly found the similar TEC changes from the recent 2016 Ecuador earthquake (M7.8). However, the post-seismic TEC changes would be falsely interpreted as the pre-seismic TEC changes dependent on the post-processing of TEC observation. We also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TEC responses from the recent domestic earthquakes including 2016 Gyeongju earthquake but could not find any anomalous TEC changes.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domestic earthquakes release significantly smaller acoustic wave energy than that of large-scale earthquakes occurring in plate boundar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