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아시아는 약10년을 주기로 특정 국가의 문화가 유행을 주도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1980년대 홍콩영화의 유행을 '항류(港流)'라 칭했고, 1990년대 일본 TV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유행을 '일류(日流)'라 칭했으며, 1990년대 말부터 '한류(韓流)'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류(流)'라는 표현은 '~식', '~스타일', '~파' 등의 뜻으로 일본에서 사용되어온 일본식 용어다. 최근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는 대만 TV드라마와 특정 스타의 인기를 '대류(臺流)'라 부르다가, 중국 영화, 방송, 관광 등의 인기를 총칭하여 '화류(華流)'라고 부르는 것 또한 마찬가지다. 이렇듯 한류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류'의 일환으로 1999년 한국문화부에서 한국대중음악을 홍보하기 위해 배포한 음반 <韓流-Song from Korea>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최근 한류의 열기가 한풀 꺾이며 화류의 열기가 그 자리를 대체하고 있음을 볼 때, 지금이라도 한류의 어원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한국문화를 표현하는 용어의 확립과 그 사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Asia has shown a tendency that a certain country's culture leads the fashion in turn every 10 years. The trend of Hong Kong movies in 1980's was called 'Hong Kong Wave', the trend of Japanese animation and games in 1990's was called 'Japanese Wave', and then the 'Korean Wave' began in the late 1990's. This term '~Wave(流)' is a Japanese-style term meaning '~way', '~style', '~group', and so on. In the same manner, recent popularity of Taiwanese TV dramas and a particular star that is in fashion in Japan are called 'Taiwanese Wave', and Chinese movies, broadcast, tourism, and etc. are called 'Chinese Wave'. Thus, the term 'Korean Wave' is a part of expression '~wave' used in Japan and it started to be used in the mean time, and was officially used in <韓流-Song from Korea>, a promotion record of Korean pop music, produced by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Korea. In this paper I propose to correct the error of the term 'Korean Wave', and furthermore, to define a term expressing Korean culture and study for its usag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