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나라에서 우리나라에 이주해 온 외국인 노동자 42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칫솔질 행태와 구강건강상태, 칫솔질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이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하루 3회 이상 칫솔질 빈도는 여성이 63.0%로 남성보다 높았으며, 교육수준은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칫솔질 빈도가 높았다. 체류기간은 국내에 체류기간이 어느 정도 지난 경우 높게 나타났다. 건강보험은 전반적으로 건강보험이 가입된 경우 빈도가 높았다. 의료비 부담은 무료인 경우 50.0%로 가장 높았고, 친구 또는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 칫솔질 빈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칫솔질 부위 중 치아, 잇몸, 혀를 전체적으로 잘 닦는 경우는 연령이 적을수록, 미혼인 경우가 전체적으로 잘 닦고 있었으며 수입은 보통인 경우가 잘 닦고 있었고, 건강보험에 가입한 경우가 잘 닦고 있었다(p<0.0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칫솔질 소요시간 3분 이상인 집단은 미혼인 경우와 건강보험에 가입된 경우가 칫솔질 소요시간이 길었으며, 칫솔질 교육유무에서는 국내 체류기간이 5년 초과인 경우와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가 칫솔질 교육을 많이 받았다. 구강위생용품은 성별은 여성, 학력은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체류기간은 3~5년 사이가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의료비 부담은 무료인 경우와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 구강위생용품을 많이 사용한다고 나타났다(p<0.0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DMFT index의 평균은 6.98, CPITN의 평균은 3.03으로 우리나라 2010년 국민구강건강 실태조사에서 성인 18세에서 44세의 DMFT index 5.9, CPITN은 1.6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DMFT index가 여성이 높았고, CPITN은 남성이 높았다. 연령, 결혼여부, 학력의 CPITN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이 낮았다. 학력은 고졸 이하가 낮았다. 동거인이 없는 경우는 DMFT index가 높았고, CPITN은 동거인이 있는 경우가 2.97로 낮았다. 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8.17로 DMFT index가 가장 높았고, CPITN은 100만원 미만이 2.75로 가장 낮았다. 건강보험이 있는 경우 DMFT index는 높았고, CPITN은 낮았다(p<0.05). 칫솔질 행태에 따른 DMFT index와 CPITN의 결과는 칫솔질 빈도 3회 이상에서 DMFT index가 8.34로 가장 높았으며, CPITN은 2.96으로 가장 낮았다. DMFT index는 칫솔질 행태가 좋을수록 높았으며 CPITN은 칫솔질 행태가 좋지 않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는 DMFT index에서 칫솔질 빈도와 칫솔질 부위, CPITN에서는 칫솔질 부위와 칫솔질 소요시간이 유의성을 나타냈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예방법으로 가장 기본인 칫솔질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올바른 칫솔질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tooth 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of foreigner immigrant worker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different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period of stay, health insurance, medical expense coverage, and whether or not one has friends or regular gatherings were significant traits for frequency, while age, marital status, income, and health insurance were traits for part (p<0.05).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as found in marital status and health insurance for time used to brush teeth, period of stay and whether or not one attends a regular gathering for tooth brushing training, and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period of stay, roommate status, medical expense coverage, and whether or not one attends a regular gathering for supplemental oral product usage. The averages of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DMFT) index and 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s (CPIT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6.98 and 3.03 respectively, and gender, roommate status, income, health insurance for DMFT index, and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roommate status, income, health insurance for CPIT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par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for DMFT index based on tooth brushing behavior, while tooth brushing part and time used to brush teeth were significant for CPITN. DMFT index was high at 8.34 for '3 times or more' in tooth brushing frequency, while DMFT index was high at 7.91 and CPITN was low at 2.94 for tooth brushing part. '3 minutes or longer' in time used to brush teeth was the lowest in CPITN at 2.8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ooth brushing behavior and DMFT index, CPITN,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part in DMFT index, and tooth brushing part and time used to brush teeth in CPITN showed significance (p<0.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must promote the significance of brushing teeth and implement continuous training for correct tooth brushing management to enhance the oral health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