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970년대에 새마을 운동의 실시로 새마을회관이 조성된 것이 정책적으로 마련된 커뮤니티 공간의 시초이다. 이후에도 마을회관이나 노인정과 같은 실내 커뮤니티 공간이 주로 조성되어 왔으나, 1990년대에 농촌 마을쉼터 조성사업을 실시함으로써 정책적으로 실외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다. 한편, 보호수는 산림보호법 제13조(보호수의 지정관리)에 의거하여 시도지사 또는 지방산림청장이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여 지정한 노목, 거목, 희귀목을 의미하며, 휴식 및 휴양을 위한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지역민의 생활의 장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수의 효용가치는 농촌마을의 사라져가는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해 높이 평가되기도 하고, 보호수를 활용하여 농촌 마을쉼터나 소공원과 같은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될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보호수의 효용가치는 보호수의 현황이나 주변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농촌에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 어떤 보호수를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나, 이와 관련된 연구와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에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보호수의 잠재력을 평가하여 향후 보호수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김천시에서 지정 관리하고 있는 40본의 보호수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보호수의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9개 항목을 선정하고, 이 평가항목들을 접근성, 공공시설과의 연계성, 환경성 및 안전성, 상징성, 조성 용이성의 5개 요소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보호수를 평가요소별로 잠재력 정도에 따라 1~5점으로 차등 평가한 후, 이 점수들을 합산하여 보호수의 최종 잠재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최종 잠재력(최대값은 25점)이 20점 이상으로 가장 높은 보호수는 7번과 12번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잠재력이 높은 보호수가 효용가치도 높다고 할 수 있으므로,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이 보호수들을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During the 1990s, policy was put in place to create resting spaces in rural areas. This policy was associated with a government project to improve the rural residence environment and it attracted attention to outdoor spaces in rural areas. Many communities have gradually disappeared in rural areas but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legally protected trees might provide resting and cultural spaces in a given rural community.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can be improved by legally protected trees and by doing so, these resources may then help to sustain many rural communities. Therefore, the creation of resting spaces or mini-parks created around trees that are protected by in rural communities should be considered. The value of trees that are protected by law can differ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trees or the surroundings. Nevertheless, there has not been systemic research regarding legally-protected trees in terms of rural communities.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potential of these trees and at analyzing how these trees can be useful in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s in rural areas. The findings can be helpful in providing foundation data for creating these types of community spaces. Forty legally protected trees in Gimchon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Nine items wer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he trees for creating community spaces. These item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including accessibility, relation to public facilities, environment and safety, symbolism, and ease for creating community spaces. The potential of the legally protected trees was evaluated by 5-point Likert Scales in a given item. The overall potential was evaluated by the sum of individual item scores. Specifically, trees with over 20 points (max. 25 points) could be considered high potential.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the portion of legally protected trees with high potential is five percent (No.7 and No.12 trees). Therefore, the priority is to protect or use the trees for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s that can help make a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 for rural communit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