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연구정보원에서 부산 소재 전체 초등학교에 공문을 보내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50명을 추천받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25명씩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8회기의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모든 연구가 끝난 후 통제집단에 대해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척도들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진로탐색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장벽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진로교육을 위한 학교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모델 및 자유학기제를 대비한 교육청에서의 다양한 진로캠프 개발 모델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who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an experimental group of 25 students and the other is a control group. The result is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for the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showed higher level in career maturity as a whole oppos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showed higher level in career self-efficacy.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showed lower level in career barriers as a whole opposed to the control group.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model for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of department of educ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