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영화산업은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이며, 한 나라의 문화에 대한 척도로서 국민들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산업으로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전략산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영화산업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국가적인 공감대의 형성 부족과 영화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서의 가치 인식의 미미로 인하여 영화산업의 발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본 연구는 한국은행의 2009년 산업연관표에서 영화제작 및 배급, 영화상영 등 2개 부문만을 영화산업으로 한정하고 새로이 영화 산업연관표를 작성, 활용하여 영화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영화산업의 총생산유발액은 82.8조원이며, 특히 영화산업 산업(영화제작 및 배급부문과 영화상영 부문)의 생산유발계수는 2.324(2.240, 2.478), 감응도계수 0.825(0.825, 0.501),영향력계수 1.163(1.121, 1.240),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884(0.479, 0.547), 소득유발계수 0.454(0.211, 0.236), 생산세유발계수 0.110(0.090, 0.146) 그리고 노동유발계수 0.017(0.014,0.022)등을 보여주고 있다. The film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boosts the self-esteem of the people as a measure of a country's culture industry, and is one of the strategic industries to be fostered. However, the film industry is struggling due to the lack of nation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film industry.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this issue, the study used the film Input-Output Table of year 2009 of korea to analyze how much the film industry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The results shows that film industry induce 82,838.7 billion won of national production, especially the film industry(the sector of film product & distribution and film screenings) shows tha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2.324(2.240, 2.478),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1.163(1.121, 1.240),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s 0.825(0.825, 0.501), value-added coefficient is 0.884(0.479, 0.547), income inducement coefficient is 0.454(0.211, 0.236), tax inducement coefficient is 0.110(0.090, 0.146) and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is 0.017(0.014, 0.022).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