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민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로서, 삶의 만족도에 대한 고용 형태(창업자/임금근로자)와 사회적(사회자본) 및 심리적 요인(자기효능감)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이다. 서울시복지패널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 연구 결과, 심리적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경제적 요인(가계소득 수준), 사회적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고용 형태 역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요인이었는데, 임금근로자가 창업자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임금 근로자의 경우 경제적 요인이외에 자기효능감과 규범, 비공식네트워크 참여도, 비영리기관 신뢰도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창업자는 경제적 및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중에서 규범만이 유의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자리 창출과 시민들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지향하는 정책 실무자들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t is about the study of life satisfaction with type of employment(entrepreneur/paid employee), social factor(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factor(self efficacy) in Seoul. The empirical results using Seoul Welfare Panel showed that psychological factor was the most powerful, and economic (household income levels) and social factor were in order. Type of employment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on life satisfaction, and paid employee's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entrepreneur's one. In case of paid employee, psychological(self-efficacy) and social(norms, informal networks of participation, non-profit trust) factor in addition to the economic factor were significantly. In case of entrepreneur, 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 and only norm among social factors were significant. Finally, The implications for politicians and local public officials were report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