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간호학과 학부 과정에서 경험한 시뮬레이션 학습이 신규간호사의 문제해결과정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학부과정에서 시뮬레이션 학습 경험이 1회 이상 있으며 임상 경력 12개월 미만의 신규간호사 202명이다. 연구를 통해 학부에서 경험한 시뮬레이션 학습의 횟수와 신규간호사의 문제해결과정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친 영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시뮬레이션 학습의 설계와 문제해결과정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친 영향 간에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이 경험한 시뮬레이션 학습의 설계를 군집분석으로 유형화하여 문제해결과정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친 영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 연구를 통해 학습의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학습의 설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추후 학부 과정의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사의 임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보다 면밀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investigating the impact of simulation-based learning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of new nurses. The 202 participants were new nurses who have provided nursing care for less than 12 months have experienced simulation-based learning more than once in their undergraduate courses. This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times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the simulation-based learning had no correlation with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but simulation design features correlated with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The results of clustering analysis that examined differences in the effects 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by classifying simulation design features by clustering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ha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imulation design to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We hope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be used for effective operation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the future, objective assessment methods will be requir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provided in undergraduate courses on nurses' clinical competen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