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적응성을 개선시키는 함의를 도출하고, 중학생의 사회적지지 정도에 따라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인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이 사회적 유능성과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관계에서 충동통제력,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자아확장력은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자아확장력은 학교적응성에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이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중학생의 자아확장력은 사회적 유능성에 가장 영향력의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인 감정조절력과 타인공감성 및 자아확장력은 매개변수인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인 충동통제력은 종속변수인 학교적응성에 사회적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사회적 유능성은 종속변수인 학교적응성에 사회적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raw the implication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suggest policy methods for their school adjustm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resilience factors such as self-control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had the influence on their impulse control,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self-expansion ability on their social competence. Emotional regulation, impulse control,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self-expansion ability had the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It was also known that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competence had high influence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ir self-expansion ability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social competence. Middle school students' resilience factors such as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and self-expansion ability may be different in their influence on social competence. Impulse control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a degre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a degree of social suppor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