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가단위 한우 유전능력평가에 적용하고 있는 유전력이 적절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그간의 검정자료를 활용하여 유전모수를 추정하였으며, 향후 보증씨수소 선발지수의 개선 등을 위하여 다형질 개체모형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다형질 모형을 적용하여 도체형질간 유전상관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도체형질의 유전모수 추정치는 단형질과 다형질에서 매우 유사한 유전력을 나타냈으며 그간 연구자들이 보고한 유전력 범위 안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직까지는 국가단위 한우유전능력평가에 적용하고 있는 유전력을 변경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본 연구에서 추정한 형질 중 근내지방도 형질의 유전력이 그간 추정한 값보다 낮게 추정된 것은 근내지방도판정기준이 변경되어 기존의 1~7등급이 1~9등급체계로 변경한 문제와 8, 9등급을 7등급으로 조정하여 분석한 것에 의한 것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여 근내지방도를 변경 전과 변경 후를 다른 형질로 보아 다형질 분석을 실시하는 등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도체중과 배장근단면적 간의 유전상관이 0.63으로 추정되어 현 보증씨수소 선발지수에 포함된 두 형질 중 어느 한 형질은 제거하여도 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와 같이 단형질 모형으로 추정한 육종가를 이용하여 선발지수를 구성할 경우 형질간의 유전상관이 고려되지 못하여 선발이 목표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형질 모형을 적용하여 육종가를 추정하고 이를 선발지수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당대검정에서 1차 선발한 가축의 자손에 대하여 능력검정을 실시하는 체계에서는 선택된 자료만 활용하게 되므로 유전모수 추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당대검정과 후대검정자료를 동시에 활용하여 유전모수를 추정하는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genetic parameters used in National Hanwoo Genetic Evaluation(NHGE) were needed to be monitored and updated periodically for accounting any possible changes in population parameters due to selection and environmental changes. Genetic parameters were estimated with single and two-trait models with MTDFREML package using 2,791 carcass records of steers collected from Hanwoo Progeny Test Program(HPTP). Single and two-trait models gave similar parameter estimates for all traits. The heritability estimates from single and two-trait models for carcass weight(CW), dressing percentage(DP), eye muscle area(EMA), back fat thickness(BFT) and marbling score(MS) were 0.30, 0.30, 0.37, 0.44 and 0.44, respectively. The heritability estimates for all the traits except BFT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used in NHGE but seemed to be within the acceptable ranges. However, further monitoring is needed because the data might not have fully reflected the changes such as carcass grading standards in performance testing program. In order to shift statistical model of NHGE from single trait model to multiple-trait model, the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carcass traits were estimated with pairwise two-trait models. The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W and DP, between CW and EMA, between CW and BFT and between CW and MS were 0.44, 0.63, 0.17 and 0.06, respectively. Those between DP and EMA, between DP and BFT and between DP and MS were 0.29, 0.40 and 0.20. Those between EMA and BFT and between EMA and MS were -0.24 and 0.15, respectively. The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FT and MS was 0.03.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