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2011년 7월 23일부터 2011년 7월 26일까지 부산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전신건강지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구강보건지식은 구강보건실천에 대하여 <TEX>${\gamma}$</TEX>=.155, t=2.539로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행태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구강보건실천정도는 구강건강영향지수에 <TEX>${\beta}$</TEX>=-.001, t=-.008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식생활행태는 구강건강영향지수에 <TEX>${\beta}$</TEX>=.172, t=2.560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강건강영향지수는 전신건강지수에 <TEX>${\beta}$</TEX>=.582, t=10.275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 보육교사들의 구강건강,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전신건강지수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힘을 써 구강병을 예방하고, 보육교사들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건강과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구강건강영향지수를 향상 시킬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life of oral health according to the knowledge and behavior related with oral health and childcare teachers. Total 205 childcare teacher who working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knowledge on oral health has an effects on oral health practice with <TEX>${\gamma}$</TEX>=.155 and t=2.539 but this doesn't show meaningful effects on dietary pattern. Oral health is not affected by oral health practice with <TEX>${\beta}$</TEX>=-.001, t=-.008 but dietary patterm has an effects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 with <TEX>${\beta}$</TEX>=.172, t=2.560. Oral health impact profile show meaningful effects on total health index with <TEX>${\beta}$</TEX>=.582, t=10.275. The results show that the oral health program for childcare teacher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oral disease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should be improved for not only childcare teachers but also children.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