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항공기에 의한 산불공중진화는 지상진화 보다 진화의 효과성이 좋다. 따라서 공중진화는 산불의 대형화를 방지하는데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고정익항공기 및 회전익항공기(헬리콥터)가 합동으로 공중진화를 하나 우리나라는 회전익항공기만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헬리콥터에 의한 공중진화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공중진화의 효과성은 투하되는 물의 분포형태와 범위에 따라서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청에서 운용하는 S-64E, Ka-32T, AS350B2의 3개 기종으로 물투하 실험을 실시하여 유효 분포형태와 범위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 조종사들이 공중진화의 효과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erial fire fighting is more effective on forest fire suppression than ground fire fighting. So, Aerial fire fighting is important to prevent large fire. United States suppression the joint fixed-wing and rotorcraft (Helicopter) but Helicopter only in Korea. At this point, we need to research about ground water drop pattern and coverage level for aerial fire fighting effectiveness by helicopter. In this study, we experimented water-dropping S-64E, Ka-32T, AS-350B2 of three of helicopter to operate the Forest Service and suggested efficient ground water drop pattern and coverage level. Using these study results, recognition of pilots who suppression more efficient aerial fire fighting at the scene of Forest fir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