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무용학은 태생적으로 융복합의 성격을 띄고 있다. 그동안의 무용학은 타학문 영역의 이론을 수용하여 예술이론으로만은 설명할 수 없는 무용현상을 다각도에서 이론적으로 규명해나가면서 무용학 영역을 확장해왔다. 그러나 디지털 혁명에 따른 테크늄과 인터렉션 그리고 자유와 개방이라는 융합사회의 특성을 종전의 무용학만으로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국내 무용학의 융복합 연구동향을 고찰한 결과,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무용학은 1.다양한 영역의 융복합 무용학 연구 촉발, 2.융복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시도, 3.무용디지털콘텐츠 융복합 연구 활성화, 4.융복합 무용공연예술현상 연구 이상, 네 측면에서 각 영역이 개별적이긴 하지만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용예술의 기술융합 및 과학분야와 학제간 융복합 연구 그리고 타 학문영역과 통섭연구라는 측면에서 무용학의 영역확장 및 구조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문제점은 현재 연구개발안이나 연구프로그램은 무용디지털콘텐츠 융합 연구이외에는, 거의 대부분 현실화되거나 실용화되는 경우가 없었다. 이에 융합시대에 따른 무용학 발전을 위하여 다음 세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과학과 무용과 기술 이론이 집약된 무용융합학을 제안한다. 이는 융합사회에 따른 새로운 인문학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다. 둘째, 무용학의 학제적 융합연구가 현실에서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이론을 현장에 상용화하는 행동주의적 단계로 이행해야 한다. 섯째, 무용융합공연의 연구기술 축적 및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위주의 융합공연 형태에서 아이디어가 참신한 소규모 융합공연 형태로 전환이 필요하다. Dance studies inherently have a nature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Meanwhile, dance studies have extended their realm by investigating dance phenomena from many perspectives which art theories cannot explain. However, the previous and current dance studies are inadequate to explain a confluence society which is characterized as techuim, Interaction, freedom and openness according to the digital revolution. Hence, a result of research trend in domestic dance studies, it is found that dance studies have been studied in four perspectives since the early 2000s: first, a triggering the various studiesa of the convergent and integrative dance; second, an attempt to the convergent and integrative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third, the vitalization of the convergent research on dance digital contents; and fourth, a research on the convergent dance art phenomena. These research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osting a change in the structure and realm expansion of dance studies that a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enabling a holistic approach to the integration and convergence between scientific technique, skills of dance art and other studies. However,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one problem is the current research development plan or/and research program have very little feasibility and practicality except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dance digital cont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studies in the age of convergence as follows: first, a dance convergent study integrated in skills and theories of dance and science that would pave the way for an academic foundation leading to a new humanistic model in the age of convergent; and second, a need for a paradigm shift that theories should be deployed in the scene on a commercial scale in order to produce effectiveness of the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ive research on dance studies by turning into a behavioristic research phase. third, it needs to changeover from large scale of convergent performance into small scale of convergent performance based on original idea for accumulation of teachnique research and promotion of dance convergent performan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