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의과대학과 의료서비스 산업에서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이란 '진료면담'에서 환자와 의사간의 쌍방향 의사소통으로써, 환자와 의사 양자에게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향상시켜 환자와 의사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코칭기법을 접목한 의사코칭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 개발 방법은 문헌검토를 통해 초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자문과 의사평가를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코칭 모델을 총 5단계로 구성하였다. 첫째, '관계 형성'으로 의사가 코칭에 대한 기대나 관심을 가지도록 한다. 둘째, '변화 주제 인식'으로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의사의 문제점과 장점을 파악하여 코칭의 방향을 설정한다. 셋째, '관점의 획득'으로 의사가 환자의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넷째, '문제 해결 및 의사소통 역량 강화'로서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킬 개선사항을 세부항목으로 제시한다. 다섯째, '목표 설정 및 지원'으로 개선 사항 목표를 설정하고 장점을 유지 강화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합의한다. 개발된 의사코칭 모델은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해 의사들을 대상으로 코칭기법을 처음으로 적용했다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 향후 의료서비스 현장에서 활용될 경우, 의사들의 커뮤니케이션 스킬 향상과 환자 공감적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진료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Recently there is a heated debate going on regarding the patient-doctor communication in the medical schools and medical service sector. Patient-doctor communication is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made during the consultation session which is known to bring positive effect to both the patient and the doctor. Through this research, a doctor coaching model was developed by combining a method that would help the patient and doctor communicate better by increasing the doctor's communication skill and a coaching mechanism. Through the research, the doctor coaching model consists of 5 levels. First is the 'relationship creation' which would cause the doctor's interest and expectations toward coaching mechanism. Second is 'recognition of change' and this would cause to understand the problem and pros of the doctor's communication with the patient and set a direction regarding the coaching. Third is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and this would lead the doctor to think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Fourth is 'increasing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this would set specific terms as to how the doctor can improve his communication skills. Fifth is 'goal setting and support' where goal regarding the improvements can be set and agreement regarding the ways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 advantage can be made. The developed doctor coaching model is most meaningful in a way that it has first adapted a coaching mechanism to improve patient-doctor communication. Also in cases where such will be utilized in the future medical service sector, it is expected to affect greatly the doctor's communication skill and patient sympathizing skills. Hereby it will contribute in increasing the patient's treatment satisfac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