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DEA(자료포락분석)의 CCR, BCC 모형과 MPI(맘퀴스트 생산성 지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방의료원의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를 평가하는데 있다. 이는 DEA 모형이 DMU(의사결정단위)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비모수적 기법이며, 또한 MPI가 특정 조직의 생산성 변화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법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34개 지방의료원의 6년간 시계열 데이터를 효율성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지방의료원은 평균 3.6%의 경영 비효율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DMU의 기술 비효율성에 비해 규모 비효율성에 더 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MPI 분석을 통해 지방의료원은 기술효율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총생산성 증가를 도모해야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해 지방의료원의 내부혁신과 정부차원의 정책지원이 필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hange of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in Korea. We us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CCR, BCC model, and MPI(Malmquist Productivity Index). DEA is a useful nonparametric technique for measurement of efficiency of a DMU(Decision Making Unit) and MPI is a evaluation method to measure DMU's productivity change. We utilize 34 regional public hospital's time-series data over 6 years from 2003 to 2008.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chnical efficiency(TE) shows that approximately 3.6% of inefficiency exists on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and it reveals that the cause for technical inefficiency is due to scale inefficiency. Second, MPI's results show that regional public hospital made effort to improve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to raise technical efficiency. In order to raise efficiency,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should deploy internal innovation an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welfare polic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