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울릉도의 성인봉을 중심으로 나리분지와 주변 산림에 대한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생태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나리분지 내 산림과 외륜의 동, 서, 북사면의 산림에 대하여 군락생태학적 방법으로 임분 구조 및 종 조성 특성을 조사 분석 하였다. 조사 대상 산림 내 임분의 층위 별 중요치를 산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나리분지 외륜산림 방위 및 고저 별 대부분의 임분에서는 너도밤나무와 고로쇠나무가 대체로 우점하는 경향이었으며, 임분간 식물 종의 조성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나리분지내의 산림에서는 너도밤나무림, 두메오리나무림, 소나무림, 낙엽활엽수림의 다양한 임분이 형성되어 있었고, 임분에 따라 종 조성도 큰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임분의 성숙도와 안정도 등 간접적인 군락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 다양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임분의 각 층위에서 모두 나리분지 내 산림이 외륜의 산림에 비해 높은 종 다양도를 보였으며, 나리분지 내 산림에서는 소나무림과 낙엽활엽수림이 너도밤나무와 두메오리나무림에 비해 각 층위에서 대체로 높은 종 다양도를 보였다. 또한 산림의 방위 및 고저 별 임분에 대한 유사성을 추정하기 위해서 S<TEX>$\O$</TEX>rensen의 유사도계수(Cs)를 비교 분석한 결과 동, 서 북사면과 나리분지 내 산림간 유사도 지수는 0.68~0.69의 범위로서 차이가 거의 없었고, 능선부와 산복부, 산록부, 평탄지간 유사도 지수는 0.85~0.95의 범위로서 거의 동일한 임분형을 보였으며, 나리분지 내 네 임분 간 유사도 지수도 0.66~0.88의 범위로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나리분지 외륜의 능선부와 산복부, 산록부, 평탄지에 대한 산림의 천이의 진행에 따라 임분구조 및 개체군의 동태를 예측하기 위하여 주요 구성종의 직경급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다소의 형태적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로 정규분포형에 가까운 종형(Bell-shape)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들 산림 내 임분은 대체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성인봉을 포함한 나리분지와 외륜 산림의 임분들은 지형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구조와 종조성에 있어서 높은 유사도를 보였으며, 기후변화에 의한 임분의 단순화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어, 산림 내 생물 종 및 생태계 다양성에 대한 보전과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of forests within and around the somma of Nari basin in Ulleung Island, the stand structure and dynamics with the aspect, altitude and stand types were estimated by using analyses of importance value, plant species diversity, S<TEX>$\o$</TEX>rensen's similarity index and distributions of diameter classes. Results of the importance value analysis with vegetation stories on each stand showed that Fagus engleriana and Acer okamotoanum were dominant in most stands regardless of the aspect and altitude of the forest around the somma of Nari basin and the plant species composition among stan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forest within Nari basin was composed of pine, beech, alder and deciduous-mixed stand. Moreover, the species composition was greatly different among the four stands. The diversity of plant species within stand was in general higher within Nari basin than around the somma, and among stands within Nari basin, the plant species diversity of pine and deciduous-mixed stand showed higher values than that of beech and alder stands. The similarity index among stands with aspect and altitude showed that the index among stands of eastern, western and northern slope in forest around the somma and forest within the basin ranged from 0.68 to 0.69, and the similarity among four stands with altitude was very high having index range from 0.85 to 0.95. The patterns of diameter class distribution of the major dominant species from four altitude classes followed an almost normal bell-shaped distribution.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an indication that these forests will in general maintain a stable stand structure. Therefore, despite diverse topographic features around Nari basin, the stand structure and plant species composition among stands were not diversified as expected. For the conservation of diversity of forest plant species and of forest ecosystems, a promising and intensive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