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원목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주요 버섯파리 종은 작은뿌리파리(Bradysia difformis), B. alpicola(가칭, 표고큰검정버섯파리) 및 Camptomyia cortocalis(가칭, 표고버섯혹파리)로 조사되었다. 원목 표고재배 농가에서 이들 3종의 버섯파리는 1년 중에서 작은뿌리파리는 3월 중순, 표고큰검정버섯파리와 표고버섯혹파리는 5월 초순에 초발생 하였다.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작은뿌리파리의 성충 발생수를 조사한 결과 2012년에는 동면에서 11.9~1,774.3마리, 풍세면에서 0.4~2,583.3마리로 두 지역에서 7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2013년에는 동면에서 10.7~4,650마리, 풍세면에서 36.8~4,740마리로 두 지역에서 6월 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표고큰검정버섯파리의 성충 발생수는 동면에서 2012년과 2013년에 각각 2.1~63.2마리, 0.8~163.7마리였고, 발생최성기는 각각 6월 중순과 5월 하순이었다. 풍세면에서는 성충 발생수가 각각 1.0~21.7마리, 0.5~280.5마리가 발생하였고, 발생최성기는 6월 초순과 5월 하순이었다. 표고버섯혹파리는 2012년과 2013년에 각각 성충 발생수가 동면에서 0.6~4.7마리, 2.1~17.3마리였고, 발생최성기는 5월 중순과 6월 중순이었다. 풍세면에서는 0.3~1.5마리, 1.3~17.6마리가 발생하였고, 발생최성기는 5월 중순과 5월 하순이었다. 버섯파리의 표고버섯 자실체 피해율은 동면에서 2012년과 2013년에 각각 0.6~25.5%, 0.7~30.5%였고, 풍세면에서 각각 1.5%~21.6%, 1.9~36.8%로 6월 중순7월 하순에 피해가 많았다. 원목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천안시 동면과 풍세면에서 천적인 아큐레이퍼응애를 이용하여 버섯파리(작은뿌리파리+표고큰검정버섯파리+표고버섯혹파리)의 방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TEX>$m^2$</TEX> 당 아큐레이퍼응애의 약충과 성충을 30마리 밀도로 5월 2일, 5월 28일, 6월 25일, 7월 10일, 7월 25일, 8월 28일 등 6회 처리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얻었다. 동면의 표고재배 농가에서는 아큐레이퍼응애 처리구에서 버섯파리의 성충 발생수가 끈끈이트랩 당 평균 202.8마리, 자실체 피해율은 평균 3.7%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79.3%, 74.8%가 감소되었다. 풍세면의 표고재배 농가에서는 끈끈이트랩 당 성충 유인수가 평균 417.1마리, 자실체의 피해률은 6.0%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64.1%, 65.5%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포식성 천적 아큐레이퍼응애는 원목 표고버섯 재배지에 발생하는 버섯파리 3종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였고 피해율도 감소시켜 우수한 생물적 방제 수단이 될 것으로 개대된다. The major species of fungus gnats which caused the severe damage in shiitake farm were identified as a Bradysia difformis, B. alpicola, and Camtomyia cortocalis on oak log beds cultivation. The B. difformis occurred early in the middle of March while B. alpicola and C. cortocalis appeared since the beginning of May. The occurrence rate for adults of B. difformis showed highly at the end of July (11.9~1,774.2 in dong-myeon and 0.4~2,583.3 in pungse-myeon) in 2012 and mid-June (10.7~4,650 in dong-myeon and 36.8~4740 in pungse-myeon) in 2013. The counting numbers on the traps for B. alpicola reached highest peak in the middle of June (2.1~63.2 in dong-myeon and 1.0~21.7 in pungse-myeon) and the end of May (0.8~163.7 in dong-myeon and 0.5~280.5 in pungse-myeon) in 2012 and 2013, respectively. The number of C. cortocalis showed high record in the middle of May in 2012 (0.6~4.7) and in the middle of June (2.1~17.3) in 2013 in dong-myeon whereas showed the peaks in the middle of May (0.6~4.7) in 2012 and in the late of May (1.3~17.6) in 2013 in pungse-myeon. The fruiting bodies of shiitake mushroom by fungus gnats were severely damaged from mid-June to late-July and the damage rate were 0.625.5% (2012) and 0.7~30.5% (2013) in dong-myeon and 1.5%~21.6% (2012) and 1.9~36.8%(2012) in pungse-myeon. To investigate the control effect for fungus gnats by Hypoaspis aculeifer, H. aculeifer (30 mixutre of nymph and adult per <TEX>$m^2$</TEX>) were treated to oak log beds shiitake cultivation for six times (May 2 and 28, June 25, July 10 and 25 and August 28). The occurrence rate of adults and damage rate of fruiting bodies of 3 major species reduced 79.3% (adult numbers) and 74.8% (fruiting bodies) in dong-myeon and 64.1% (adult numbers) and 65.5% (fruiting bodies) in pungse-myeon, respectively, compared to non-treatment. Accordingly, H. aculeifer effectively controlled the fungus gnats on shiitake mushroom and can be used as good control age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