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웹 기반의 시각적 자극이 주어질 경우, 인간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시각적 스트레스 정도가 어떻게 다르게 수용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스트레스 유발 자극은 2D 환경 하에서 14개의 한글 모음들의 연속과 가로줄 무늬로 발생시키며, 20대 대학생 40명의 피실험자는 5분 동안 자극에 노출된다. 개인별 시각적 스트레스 수용 척도는 시각적 점멸융합주파수의 저하율로 측정된다. 독립변수는 성별과 8개의 MBTI 성격유형(E-I, S-N, T-F, J-P)이며, 가설은 인간 정보처리 모델과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설정되었다. 저하율로 측정된 종속변수는 성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MBTI 성격유형 중 E-I와 T-F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I형과 T형은 각각 E형과 F형보다 더 큰 저하율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산업체 및 군과 원자력 발전소 등을 포함하는 공공기관에서 시각적 자극에 노출이 심하면서, 인간 오류가 시스템 전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감시 및 감별 업무에 적합한 인원 선발에 이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web-based visual stress and MBTI personality types. The stressor deriving visual stress is built by 14 vowels out of Korean alphabet as a content and parallel striples as a background on the screen, which is given to each subject during 5min. The dependent variable indicating how much human takes visual stress is the reduction rate of flicker fusion frequency, which is evaluated with visual flicker fusion frequency tester.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gender and 8 MBTI personality types(E-I, S-N, T-F, and J-P), and hypotheses are based on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nd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ddress that the reduction rate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gender, S-N, and J-P, but E-I and T-F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it. The reduction rate in I-type is almost 2 times as much as that in E-type and T-type has the rate 2.2 times more than F-type. This study can be applicable to determine the adequate personnel for jobs requiring less sensibility to visual stressors in areas that human error may lead to critical damages to an overall system.】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