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발효된 오이의 산패는 원하지 않는 미생물의 2차적 생장에 의한 결과이며 장기보관을 원하는 발효오이 식품은 일반적으로 고농도의 염을 사용한다. 염의 농도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산패를 방지할 수 있는 pH의 범위를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합의 pH와 NaCl 농도를 갖는 발효오이즙(FCS) 배양액에 3가지 종류의 산패액을 각각 접종하여 발효오이의 산패여부를 조사하였다. pH3에서는 NaCl의 첨가가 없더라도 산패는 일어나지 않는데 비하여 pH 5.0에서는 4%의 NaCl에서도 모두 산패가 진행되었다. pH 3.5, pH 4, pH 4.5 에서는 0%와 2% NaCl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발효오이의 산패를 예견할 수 있는 조견표를 작성하였다. 조견표의 사용은 발효오이의 장기보관을 위한 적절한 산도와 염의 농도의 선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Off-flavors and odors in fermented cucumbers result from the growth of undesirable microorganisms during the secondary fermentation. Under laboratory conditions using a sterile fermented cucumber slurry medium, the spoilage fermentations were reproduced. Using this system the salt and pH conditions that allow the spoilage to occur were determined by varying the NaCl concentration and pH of the slurry medium. At pH 3, no spoilage was observed, regardless of the salt concentration, while at pH 3.5, pH 4, and pH 4.5, spoilage occurred in the 0 and 2% NaCl samples. For pH 5.0 samples, spoilage products were seen for all NaCl treatm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rvation Prediction Chart was developed. The Chart may be used for selection of proper pH value and salt concentration for long term storage of fermented cucumber.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